대학소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분야의 융합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주요사업

연구혁신상
목적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교원의 연구 활동을 진작시키고자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한 교원을 발굴 포상하여 교원의 사기를 앙양하고자 함.

선정 및 시상

매년 11월 ~ 12월

포상 구분
  • 연구혁신 대상

  • 연구혁신 우수상

2022년도 수상자
구분 소속 수상자 추천논문 및 자료
연구혁신 대상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수상자 사진
김형준 교수
[대표논문] Utsumi, N. and H. Kim (2022) Observed influence of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on typhoon heavy rainfall, Nature Climate Change, 12, 436–440 (IF: 28.862), 교신저자 외 논문 2편
연구혁신상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수상자 사진
한지영 교수
Han, J., Lee, Y., Lee, J., & Cha, M. (Mar. 2022). “News comment sections and online echo chambers: The ideological alignment between partisan news stories and their user comments.” Journalism.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 10.1177/14648849211069241. (SSCI 5-year IF: 3.559). 제1저자 및 공동 교신저자.
문화기술대학원 수상자 사진
이원재 교수
Mir Majid Molaie and Wonjae Lee. 2022. “Economic Corollaries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 68(IF 10.972, SSCI) 교신저자 외 2편
문화기술대학원 수상자 사진
차승현 교수
Cha, S.(차승현, 제1저자), Ma, J., Seo, J., and Han, S., “Empirical comparison of spatial experience beyween photo-based IVE and real space,”Architectural Science Review, Taylor & Francis, published online, October 2022A&HCI, Q1, 상위 0.54%〕 외 3편
문화기술대학원 수상자 사진
이진준 교수

- EMPTY GARDEN’ Single channel video work, 2021-뉴컨템퍼러리 상 수상 및 전시(2021/12/10-2022/2/20)

- ZKM Karlsruhe 아트 앤 미디어 센터 – Intelligent. museum project artist선정(2022/10/22)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수상자 사진
김소영 교수
Kim, S. Y. (2022). To boost South Korea’s basic science, look to values, not just budgets. Nature, 606(7913), 229-229. (IF=69.50, 5-year IF=63.58)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수상자 사진
이경면 교수

- Kim, H. W., Lee, K. M., & Lee, Y. S. (2022). Sensorimotor and working memory systems jointly support development of perceptual rhythm processing. Developmental Science, e13261.(교신 저자: 이경면), (SCI, 5-year IF=5.396)

- International Musicological Society (국제음악학회) 동아시아지부 10주년 창립기념 학회 개최 (Organizing Committee와 Program Committee로 활동)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수상자 사진
김란우 교수
Lanu Kim, Daniel Scott Smith, Bas Hofstra, and Daniel A. McFarland. 2022. “Gendered Knowledge in Fields and Academic Careers.” Research Policy 51(1).제1저자 및 교신저자(IF= 9.473) 외 3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수상자 사진
안소연 교수
Ahn, So-Yeon “Visualizing the interplay of fear and desire in English learner’s imagined identities and communities”(IF=4.518, CiteScore: 5.3), SSCI, Scopus 외 1편
2021년도 수상자
구분 소속 수상자 추천논문 및 자료
연구혁신 대상 인문사회과학부
김하나 교수
Lee, D., Heo, K., & Seo, Y, “Flattening the curve on COVID-19: South Korea’s Measures in Tackling the Initial Outbreak of Coronaviru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Oct. 2020.
연구혁신상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서용석 교수
Applying foresight to policy agenda-setting: A successful case in South Korea. Futures, 127, 102701(SSci, IF: 3.073). 교신저자 외 4편 등을 발표함.
문화기술대학원
노준용 교수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 최고 저널인 ACM TOG와,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분야 최고 학술지인 ACM CHI에 각 1편씩 2편, 동분야 Top class 저널과 학회에 각 1편씩 2편 등 4편의 최우수논문 주자저로 게재함.
문화기술대학원
우운택 교수
국제공동연구 결과를 가상증강현실분야 최우수 학술지인 Springer Virtual Reality (VR)에 출판하고, CG/VR분야 최우수 학술지인 IEEE Transactions on Computer Graphics(TVCG)와 Springer Multimedia Tools and Applications(MTA)에 2편의 논문을 출판하였음.
문화기술대학원
이성희 교수
LoBSTr: Real-Time Lower-body Pose Prediction from Sparse Upper-body Traking Signals, Computer Graphics Forum, May 2021(IF: 2.078. Citations: 5) 외 논문 1편 등을 발표함.
과학기술정책대학원
Scott Gabriel Knowles 교수
국제협력연구를 통해 작성한 논문은 인류세 연구 분야의 주요 저널인 Anthropocene Review에 출판됨. 이를 계기로 국제협력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됨. (SSCI, IF 2-year 4.182, 5-year 6.663) 외 3편 등을 발표함.
과학기술정책대학원
Grant Fisher 교수
“Stem cell toxicology: Ethical and epistemic constraints on in vitro models,” HYLE-An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Philosopht of Chemistry 27:1 (2021): 67-89.(A&HCI and SSCI) (IF: 0.375) 발표 외 8편의 논문을 편집함.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양재석 교수
Relationships between Capital Flow and Economic Growth: A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Institutions & Money 72: art. no.101345 MAY 2021(IF: 4.211, Rank by JCI=20/221, 상위 9.0%, Business, Finance) 교신저자 외 5편 등을 발표함.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
Kim, H. & D. Tokuda (2021) [Global Climate] River Discharge and Runoff [in “State of the Climate in 2020”]. Bull. Amer., 102 (8), S63-S65, 외 2편을 발표하여 IF가 상위 수준임.
2020년도 수상자
구분 소속 수상자 추천논문 및 자료
연구혁신 대상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서용석 교수
Lee, D., Heo, K., & Seo, Y, “Flattening the curve on COVID-19: South Korea’s Measures in Tackling the Initial Outbreak of Coronaviru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Oct. 2020.
연구혁신상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이경면 교수
Moon, I. J., Kang, S., Boichenko, N., Hong, S. H., & Lee, K. M. (2020). Meter enhances the subcortical processing of speech sounds at a strong beat. Scientific Reports, 10(1), 1-8.
문화기술대학원
노준용 교수
Neural Crossbreed: Neural Based Image Metamorphosis, S. Park, K. Seo, J. Noh, ACM Transaction on Graphics (To appear), To present at ACM SIGGRAPH Asia
문화기술대학원
우운택 교수
G Park, A Argyros, J Lee, W Woo, “3D Hand Tracking in the Presence of Excessive Motion Blur,”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TVCG), vol.26, no.5, pp.1891-1901, May 2020
문화기술대학원
박주용 교수
Doheum Park, Juhan Nam, Juyong Park, Novelty and influence of creative works, and quantifying patterns of advances based on probabilistic references networks”, EPJ Data Science (2020. 1. 30.)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최문정 교수
Jung-Min Woo & Moon Choi (2020) “Why and How Have Korean Cities Embrace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Model?”,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양재석 교수
J. Park, J. Kim, H. Woo, J.-S. Yang, “Opposite Effects of R&D Cooperation on Financial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in SME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Published online: APR 2020,
2019년도 수상자
구분 소속 수상자 추천논문 및 자료
연구혁신 대상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양재석 교수
Jungwoo Lee, Jae-Suk Yang*, Global energy transitions and political system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15, Art No. 109370 2019
연구혁신 우수상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김정훈 교수
M. Kim & J. Kim (2019). Complementary Quantitative Approach to Unsolved Issues in Art History, Leonardo, 52, 164-174.(A&HCI, 교신저자)
문화기술대학원
노준용 교수
Model Predictive Control with a Visuomotor System for Physics-based Character Animation, H. Eom, D. Han, J.S. Shin, J, Noh, ACM TOG, Vol. 39, Issue 1, Article 3, October 2019
문화기술대학원
이성희 교수
컴퓨터 애니메이션 분야 국제학회 조직 및 개최 SIGGRAPH/Eurographics Symposium on Computer Animation (SCA) 2019 : Conference Co-Chair
문화기술대학원
남주한 교수
Deep Learning for Audio-based Music Classification and Tagging Juhan Nam, Keunwoo Choi, Jongpil Lee, Szu-Yu Chou, and Yi-Hsuan Yang,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Vol. 36, No. 1, pp. 41-51, 2019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범순 교수
Kim Kyuri & Buhm Soon Park, “Infrastructure-building for Public Health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uberculosis Control in South Korea, 1945-1963”,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No.1, vol 28, April, 2019(A&HCI)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이상윤 교수
Posen, H. E., Yi, S., & Lee, J. 2019. A Contingency Perspective on Imitation Strategies: When Is “Benchmarking” Ineffectiv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forthcoming.
2018년도 수상자
구분 소속 수상자 추천논문 및 자료
연구혁신 대상 문화기술대학원
이원재 교수
The first Korean sociologist ever published in PNAS(the second Korean social scientist preceded by prof. Choi Jungkyu at Kyoungbuk Univ. Economics dept.)
연구혁신상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박우석 교수
Philosophy’s Loss of Logic to Mathematics: An Inadequately Understood Take-Over, SAPERE(Studies in Applied Philosophy, Epistemology and Rational Ethics, Book 43), 2018.07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Hyunjung Cho, “Tange Kenzō’s Tokyo Plan, 1960, A Plan for Urban Mobility,“ Architectural Research Quarterly 22:2(June 2018):139-150 *A&HCI
문화기술대학원
이병주 교수
Oulasvirta, Antti, Sunjun Kim, and Byungjoo Lee. "Neuromechanics of a Button Press." Proceedings of the 2018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18. (CHI 2018 논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Top Tier 학회, Best Paper Honourable Mention Award 수상, 본인 교신저자)
문화기술대학원
Jean-Charles Bazin 교수
“An Omnistereoscopic Video Pipeline for Capture and Display of Real-World VR”, by Christopher Schroers, Hean-Charles Bazin and Alexander Sorkine-Hornung, TOG(presented at SIGGRAPH), 2018 ° SIGGRAPH is the most prestigious venue of Computer Graphics. The associated YOG journal has an IF of 4.2, is listed as SCI, and is the top-ranking journal of the category Computer Science: Software Engineering(ranked 1st out of 104 journals)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전치형 교수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종합보고서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양재석 교수
W S Choi, J Park, J Y Choi, and J-K Yang (Corresponding Author), Shareholders’ resisance to telemedicine with focus on physicians: Utilizing the Delphi technique,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Accepted(IF=3.046)
2017년도 수상자
구분 소속 수상자 추천논문 및 자료
연구혁신 대상 문화기술대학원
노준용 교수
S. Jeong, J. Lee, B. Kim, Y. Kim, J. Noh., “Object Segmentation Ensuring Consistency across Multi-viewpoint Images.”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017.
연구혁신상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박우석 교수
Abduction in Context. Cham, Switzerland: Springer, 2017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이승욱 교수
“Geopolitical Economy and the Production of Territory: The Case of US-China Geopolitical-Economic Competition in Asia.”Environment and Planning A, 2017.
문화기술대학원
이지현 교수
“Image-based Tactile Emojis: Improved Interpretation of Message Intention and Subtle Nuance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Human-Computer Interaction, 2017.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최문정 교수
“Gender and racial disparities in life-spaceconstriction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56(6)(December), 1153-1160, 2016.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안광원 교수
Whittington R, Yakis-Douglas B, Ahn K. Cailluet L(2017), “Strategic planners in more turbulent time.” Long Range Planning 50, 108-119.
문화기술대학원
이성희 교수
Changgu Kang and Sung-Hee Lee, “Multi-Contact Locomotion Using an Contact Graph with Feasibility Predictors.”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36(2), 22:1-14, April 2017.
비교과 교육과정 강화 3C
정재훈 인성함양기금
소개

생명과학과 정재훈 명예교수님께서 거주하시던 주택을 발전재단을 통하여 처분하여 KAIST 학생들의 인성함양을 위하여 기부로 마련된 기금입니다.

기금명칭

정재훈 인성함양기금

사업내용

KAIST 인문학 캠프개설

  • 시기 : 연 2회 (봄, 가을학기 중간고사 이후)

  • 인원 : 총 80명 (회당 40명)

  • 프로그램 내용 : 국내 문학 및 역사 관련 지역 답사 등 1박 2일

주요프로그램 (안)
구분 세부내용
현장답사 작가 생가, 작품배경 및 역사현장, 문화유적지 답사
초청강연 선정 주제와 관련된 전문가를 초청하여 문학 강연 개최
독서토론 그룹별 주제 선정 후 토론 개최
힐링캠프 대학생활의 고충과 진로상담을 위한 교수와 학생의 대화 캠프 시행
년도별 행사
년도 행사
2022년도 노벨상 수상자 수상실적 해설강연 (평화상, 경제학상, 문학상) 2022
2021년도 노벨상 수상자 수상실적 해설강연 (평화상, 문학상, 경제학상) 2021
2020년도 온라인 콘서트 동영상 제작 지원
노벨상 수상자 수상실적 해설강연 (평화상, 문학상, 경제학상) 2020
2019년도 행사없음
2018년도

주제: 서해안 기름유출 사고를 되묻는다

  • - 초청강연 : 노진철교수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 - 강연일 : 10.25(목) 14:30~16:00 / 참석인원: 43명
  • - 현장답사 : 태안 유류피해극복기념관, 천리포수목원, 신두리해안사구
  • - 답사일 : 11.03(토) 09:00~18:40 / 참석인원 27명
  • - 답사후 발표 및 토론 : 11.03(토) 18:50~20:00
  • - 참석인원 : 23명
2018
2017년

주제: 72년간의 기다림,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에게 해방을!!

  • - 초청강연 : 윤미향 공동대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 강연일 : 11.23(목) 16:00~18:00 / 참석인원 : 43명
  • - 문화현장답사 [답사장소: 나눔의 집(경기도 광주), 전쟁과여성인원박물관(서울 성산동)]
  • - 답사일 : 11.25(토) 08:30~18:30 / 참가인원 : 14명
  • - 답사후기 발표 및 토론 : 11.25(토) 19:00~21:00
  • - 참가자 : 10명
2017
2016년도

주제: 통영에서 백석을 만나다

  • - 초청강연 : 김재용교수(원광대학교 국문과, 문학평론가)
  • - 강연일 : 09.28(수) 16:00 / 참석인원 : 54명
  • - 문화답사 : 김재용교수와 함께하는 통영답사
    (세병관-백석거리와 백석문학비 – 명정골 하동집 – 충렬사 – 서포루와 서피랑)
  • - 답사일 : 10.08(토) 09:00~18:00 / 참가인원 : 16명
2016
2015년도

주제: 상상력은 어떻게 만화가 되는가?

  • - 초청강연 : 주호민 작가 (웹툰작가)
  • - 강연일 : 11.04(수) 17:30~19:00 / 참석인원 : 73명
  • - 문화공연관람 : 뮤지컬 ‘무한동력’ 관람
  • - 장소 : 서울 대학로 티오엠
  • - 관람일 : 11.07(토) 15:00 / 참석인원 : 40명
2015
2014년

주제: ‘건축을 걷다’ 건축, 6감각으로 보다

  • - 초청강연 : 건축가 깁병윤교수 (대전대학교 건축학과교수)
  • - 강연일 : 10.29(수) 17:30~19:00 / 참석인원: 80명
  • - 문화답사 : 건축과와 함께 떠나는 도시기행 (파주 Book City)
  • - 답사일 : 11.01(토) 09:00~20:00 / 참가인원: 24명
  • - 답사후 발표 및 토론 : 11.27(목) 17:00~20:00
  • - 참석인원 : 20명
2014
주관부서 :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교학팀
석박사모험연구사업
목적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에서는 석.박사과정 모험연구사업을 2017년도부터 시행중에 있다.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소속 학과 학생으로 학술지 게재와 상관없이 참신하고 독창적이며, 인문·사회·문화를 포함한 융합연구를 기반으로 대학원생이 도전하고자 하는 연구에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고는 매년 3월 중순경 과제 공모 및 제안서 심사를 통하여,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의 연구기간이 주어진다. 익년도 1월중 연구과제 결과발표를 통하여 평가를 받고 있다.

2023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오늘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석사과정
보건·의료 정책에의 접근성 연구: 트랜스젠더를 대상으로
김진아, 김민영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센싱기술을활용한인터랙션향상연구
황유진, 배준형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VR에서의 감각 전이 경험 설계를 통한 감각간/개인간 지각의 상호 대응적 구조의 차이 증명 및 감각 전이를 경험할 수 있는 VR 인터페이스 제작
권준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
핵무기 잠재력 분석 기반 북핵 핵심 시설 규명 및 비핵화 조치 우선순위 도출
2022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장혁진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가상현실 내 아바타 표상 및 경험 맥락이 지체 장애에 대한 암묵적 편견에 주는 영향
이승언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VR 협업 과제에서 상대방의 아바타 시각화 및 보상 공평성이 공동 주체성에 미치는 영향
금현아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
한국의 메인테이너 드러내기 : 폐기물 처리 기반시설 속 보이지 않는 노동
황유진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가상 강연 시청 시 주의 데이터 기반 자동 영상 편집 시스템
2021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심혜승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증강현실(AR)기반 세계유산지역 문화관광 안내서비스를 위한 UIUX 개발 연구: ‘한국의 서원’ 세계연속유산을 중심으로
김민혜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박사과정
웹소설의 미래: 웹소설 원작의 산업적 확장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 한국 로맨스 웹소설을 중심으로
2020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배준형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한국화의 시각적 구성 요소 분석 연구: 묵죽화를 중심으로
용상언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노래 교정을 위한 음악 표현 이식 알고리즘
심혜승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가상 산사박물관 설립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개발 및 디지털데이타 구축연구:
세계유산 및 종교문화유산의 디지털화 작업을 위하여
황유진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시각적 역하 단서를 활용한 정적/동적 환경내의 주의 집중 유도
강철민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ARility: 장애인 포용(Social Inclusion)을 위한 증강현실(AR) 기반 쇼핑 시스템
2019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최민영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박사과정
익명성이 사회 분극화에 미치는 영향
2018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오주영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영상 내 실시간 시선 움직임 예측을 위한 ACT-R EMMA 확장
이세연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노년층의 정신건강을 위한 소셜 온라인 회고록 연구
장지윤,김현주 문화기술대학원
석사과정
영상 분석을 통한 백델 테스트: 한국 영화에서의 젠더 평등 인지에 관한 연구
2017년도 채택과제
연구수행자 학과 연구과제명 비고
김성용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다중감각연합을 통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조종명령의 애매함 해소
윤기준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
침몰하는 뱃속으로: 조선업과 산업도시 위기의 민족지적 재해석
선인경, 이빛나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과정/석사과정
에너지전화기의 에너지 기술연구 진화
카이스트 베네핏 챌린지 프로그램

KAIST Bene-Fit Challenge Program

카이스트 내 학부-대학원생의 다양한 건강관리 및 스포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신체활동 Challenge 프로그램과 체육 AU 확대를 위해 운영
스포츠 활동을 통한 도전과 건강관리의 성취감을 고취시킵니다.

To escape from 방콕 : 비활동성 생활습관의 전환 기회 / 건강하고 활기찬 기숙 환경 적응 / 스포츠 참여로 활동적인 휴식의 필요성 이해
새로운 스포츠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긍정적인 동기 제공 / 스포츠나 운동을 통한 스포츠 과학의 융합적 사고 활성화

※ 프로그램 유형 : 교육형, 참여형, 도전형 Benefit의 사전적 의미는 이익, 도움이 되다’ 입니다.
‘bene’‘좋은’이라는 뜻에서 어원과 체력의 fitness에서 Fit을 차용하여 Bene-Fit의 ‘체력이 좋다, 건강해진다’ 의 중의적 의미로 사용합니다.
“KAIST 50주년 197.1km 베네핏 Challenge run” 진행 2021년은 KAIST 개교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따라서 우리 대학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에서는 교내 구성원들간의 건강과 체력관리를 위한 캠페인으로 “KAIST 50주년 197.1km 베네핏 챌린지 달리기”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장기간 코로나 19로 위축된 신체활동과 구성원들의 체력증진, 건강관리 및 스포츠 활동 활성화를 위해 Challenge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자 하였습니다. 개교년도 1971년을 의미하는 197.1km를 3개월간 완주하기 위해 300여 명의 참가자를 선발하였고 참가자의 체력과 동기 수준에 따라 걷기와 달리기를 통해 50주년을 의미하여 50명을 선착순으로 선발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카이스트 개교 50주년 기념과 코로나 19상황에서 비대면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구성원간의 사회적 가치를 함양하고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사고를 위한 도전 의식을 북돋워 성취감 고취할 수 있었으며, 스포츠 활동을 통해 참여의식과 배려심을 배양할 수 있었습니다.

행사 로고

행사 로고

행사 어플> 스트라바(STRAVA)

행사 어플> 스트라바(STRAVA)

프로그램 포스터

프로그램 포스터

프로그램 웹페이지 및 완주증

프로그램 웹페이지 및 완주증
more view

교내 인기코스> 참가자

교내 인기코스> 참가자
운영 프로그램

SOS 안전수영 (교육형)

SOS 안전수영 (교육형)

대전 마라톤 10K 도전 (도전형)

대전 마라톤 10K 도전 (도전형)

조용한 인내: 명상요가 (교육형)

조용한 인내: 명상요가 (교육형)

서울 달리기: 하프 마라톤 도전 (도전형)

서울 달리기: 하프 마라톤 도전 (도전형)

전문 스포츠 교실 배드민턴 (참여형)

전문 스포츠 교실 배드민턴 (참여형)

대전여지도 - "대전의 길을 열다...지도꾼 카이스티안!“ (참여형) - 대전 및 유성구 내 지정된 10곳 중 7곳 투어 체험

대전여지도 - '대전의 길을 열다...지도꾼 카이스티안!' (참여형) - 대전 및 유성구 내 지정된 10곳 중 7곳 투어 체험
다빈치 포인트

Da Vinci point

카이스트 예술 활동 인증제

카이스트는 당신의 예술활동을 응원합니다.

다빈치 포인트는 학부생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주는 예술 활동 활성화 프로그램 입니다.

  • 예술을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창의적 캠퍼스 조성
  • 학생들의 다양한 수요에 맞게
    예술 활동 참여 동기 부여
  • 학내 다양한 예술 활동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및 활성화
2019년 다빈치 포인트 수상자
  • 하예림 (수리과학과)
  • 길서영 (전기전자공학부)
  • 플래티넘상

    김현진, 최진, 강덕희, 양인선, 윤서원, 김나영, 신의진, 문희준, 김성주, 추진우, 이재진

  • 골드상

    박수림, 김태형, 김민성, 이소영, 이진우, 김이삭, 류주영, 이성주

  • 실버상

    김은수, 최준호, 권정민, 이창해, 박광천, 양희원, 이찬희, 이재욱, 이종서, 김예솔, 홍민주, 이유경, 김용태

  • 참가상

    신정윤, 이금진, 이기범, 이영민, 이정현, 이찬혁, 정다현, 정석훈, 정원호, 정호헌, 조민우, 최명균, 이현정, 이현직, 임나현, 임성재, 홍성준, 전재완

사회적 가치

Social Value

현장 기반 사회적 가치 교육 프로그램 시행 UN 지속가능발전(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을 위한 17개 목표를 반영하여 사회적 가치 지향 인재 양성을 위한 인문사회교육의 3가지 주요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사회적 가치 지향 인문사회교육의 3가지 핵심주제
  • 평화와 인권
    평화와 인권

    평화/인권, 세계화/다문화/젠더
    북한/통일

    사회학 특강(세계화와 이주) 강의 통해 시범 시행
    • 1) 현장 전문가 초청 강연

    • 2) 현지 답사 및 조사

      -안산 이주노동자센터, 양천 외국인근로자센터 등 8곳

    • 3) 학생 워크샵 개최: 현장조사 결과 발표 및 공유

  • 공존과 소통
    공존과 소통

    법/민주주의, 불평등/노동, 사회경제/공유,미디어/소통/정보

    세계화와 이주 (Globalization and Migration)
    • 강의개요

      이 수업은 전세계적인 인구이동이 가져온 세계화의 의미를 ‘이주’라는 사회현상을 통해 이해하려 하며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진행된.
      첫째, 전통적인 이주국가에서 일어난 정치 사회 문화적 변화와 도전들을 유럽의 이주와 난민위기, 그리고 다문화 주의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통해 접근 할 것이다

    • 강의일정

      Week1 (9/2, 4)
      인구이동의 명과 암 /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

  • 과학기술과 환경
    과학기술과 환경

    생태/환경, 도시/인구/보건
    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