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3 Program
-
Creativity
예술마일리지 제도 시범운영 다빈치 포인트제도
-
Challenge
카이스트 스포츠 활동 활성화 및 Challenge 프로그렘
-
Caring
현장기반 사회적 가치 지향 인재양성 교육 프로그램
학과소개
Department Introduction
-
인문사회과학부
School of Humanties
& Social Sciences인문사회과학부인간 중심의 과학기술교육을 통한
창의적 융합인재를 양성합니다.-
학과사무실
042-350-4602~4603
-
학과위치
N4(2F)
-
학과사무실
-
문화기술대학원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문화기술대학원첨단과학기술과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을 창의적으로 융합합니다.
-
학과사무실
042-350-2902~7
-
학과위치
NN25(2F)
-
학과사무실
-
문술미래전략대학원
Moon Soul Graduate
School of Future Strategy문술미래전략대학원미래학과 전략·정책을 연구·교육하여
인류의 발전과 행복에 기여합니다.-
학과사무실
042-350-4022
-
학과위치
N5(2F)
-
학과사무실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Graduate School of Science,
Technology and Policy과학기술정책대학원과학 및 기술 정책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넓히고 새롭게 개척합니다.
-
학과사무실
042-350-4842
-
학과위치
N4(2F)
-
학과사무실
KAIST Bene-Fit Challenge Program
카이스트 내 학부-대학원생의 다양한 건강관리 및 스포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신체활동 Challenge 프로그램과 체육 AU 확대를 위해 운영
스포츠 활동을 통한 도전과 건강관리의 성취감을 고취시킵니다.
To escape from 방콕 : 비활동성 생활습관의 전환 기회 / 건강하고 활기찬 기숙 환경 적응 / 스포츠 참여로 활동적인 휴식의 필요성 이해
새로운 스포츠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긍정적인 동기 제공 / 스포츠나 운동을 통한 스포츠 과학의 융합적 사고 활성화
‘bene’의 ‘좋은’이라는 뜻에서 어원과 체력의 fitness에서 Fit을 차용하여 Bene-Fit의 ‘체력이 좋다, 건강해진다’ 의 중의적 의미로 사용합니다. 운영 프로그램
SOS 안전수영 (교육형)

대전 마라톤 10K 도전 (도전형)

조용한 인내: 명상요가 (교육형)

서울 달리기: 하프 마라톤 도전 (도전형)

전문 스포츠 교실 배드민턴 (참여형)

대전여지도 - "대전의 길을 열다...지도꾼 카이스티안!“ (참여형) - 대전 및 유성구 내 지정된 10곳 중 7곳 투어 체험

다빈치 포인트는 학부생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주는 예술 활동 활성화 프로그램 입니다.
-
예술을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창의적 캠퍼스 조성 -
학생들의 다양한 수요에 맞게
예술 활동 참여 동기 부여 -
학내 다양한 예술 활동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및 활성화

-
하예림 (수리과학과)
-
길서영 (전기전자공학부)
-
플래티넘상
김현진, 최진, 강덕희, 양인선, 윤서원, 김나영, 신의진, 문희준, 김성주, 추진우, 이재진
-
골드상
박수림, 김태형, 김민성, 이소영, 이진우, 김이삭, 류주영, 이성주
-
실버상
김은수, 최준호, 권정민, 이창해, 박광천, 양희원, 이찬희, 이재욱, 이종서, 김예솔, 홍민주, 이유경, 김용태
-
참가상
신정윤, 이금진, 이기범, 이영민, 이정현, 이찬혁, 정다현, 정석훈, 정원호, 정호헌, 조민우, 최명균, 이현정, 이현직, 임나현, 임성재, 홍성준, 전재완
-
평화와 인권
평화/인권, 세계화/다문화/젠더
북한/통일사회학 특강(세계화와 이주) 강의 통해 시범 시행-
1) 현장 전문가 초청 강연
-
2) 현지 답사 및 조사
-안산 이주노동자센터, 양천 외국인근로자센터 등 8곳
-
3) 학생 워크샵 개최: 현장조사 결과 발표 및 공유
-
-
공존과 소통
법/민주주의, 불평등/노동, 사회경제/공유,미디어/소통/정보
세계화와 이주 (Globalization and Migration)-
강의개요
이 수업은 전세계적인 인구이동이 가져온 세계화의 의미를 ‘이주’라는 사회현상을 통해 이해하려 하며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진행된.
첫째, 전통적인 이주국가에서 일어난 정치 사회 문화적 변화와 도전들을 유럽의 이주와 난민위기, 그리고 다문화 주의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통해 접근 할 것이다 -
강의일정
Week1 (9/2, 4)
인구이동의 명과 암 /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
-
강의개요
-
과학기술과 환경
생태/환경, 도시/인구/보건
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