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Introduction

인문사회와 과학기술분야의 융합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List of Graduates

March 2025
Department Professional Master Master Doctorate Total
School of Digital Humanities and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 3 3
Gru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1 14 6 21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 4 6
Moon Soul Graduate School of Future Stategy Moon Soul Graduate School of Future Stategy 2 2
Master’s Program in Science Journalism 18 18
Master’s Program in Intellectual Property 28 28
Master’s Program in Future Strategy 20 20
Total 1 85 12 98
Doctorate recipients (12)
Name Department Thesis Title
Jung Eun Yoo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이미지 분석 기반 3D 콘텐츠의 인터랙티브 생성 및 편집 방법
Interactive 3D Content Creation and Editing Method based on Image Analysis
JINWOO JEON 다중 기기 협업 증강 현실을 위한 에지 도움 시멘틱 슬램
Edge-assisted Semantic SLAM for multi-device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WOOJIN CHO 착용형 증강현실에서의 객체 중심 손 상호작용을 위한 연속된 정보 기반 손 자세 추적
Temporally Enhanced Hand Tracking for Object-dependent Hand Interaction on Wearable AR
Wootaek Lim 멀티모달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시각 정보 기반 공간 오디오 생성 및 향상
Visually-Informed Spatial Audio Generation and Enhancement Using Multimodal Deep Neural Networks
SeungHeon Doh 음악 주석과 검색을 위한 오디오와 언어의 연결
Connecting Audio and Natural Language for Music Annotation and Retrieval
Eugene Hwang 시선 추적을 통한 주의 역학 분석: 시선 기반 지표의 규명 및 응용 방법론 제안
Exploring Attention Dynamics via Eye-Tracking: Iden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Gaze-based Indices
Seongrae Cho Moon Soul Graduate School of Future Stategy 고령화로 인한 공공갈등의 쟁점과 적응적·예측적 거버넌스를 통한 갈등전환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 분석
A Study on the Issues of Public Conflicts Due to Aging and Conflict Transformation Through Adaptive and Anticipatory Governance : A Comparative of South Korea and Japan
SEONGEUN KIM 기후 리스크와 주식시장 예측 분석에 관한 연구: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Climate Risk and Predictive Analytics in the Stock Market: A Focus on the Energy Industry
Heewon Kim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코드화된 얼굴: 표정의 과학적 의미의 구성, 1960-2010
The Coded Face: Making Scientific Sense of Facial Expressions, 1960-2010
Doohyun Sung 위태로운 길을 건너서: 데이터 기반 독성학의 맥락에서의 연구 방법 검증에 관하여
Across the Adverse Paths: On Research Method Validation in Data-Centric Toxicology
HyeJeong Han 추구가치성에 대한 실천 중심적 논고: 신약 설계 및 규제 기관의 영향에 관하여
Pursuitworthiness in Practice: QSAR, Drug Design, and the Influence of Regulatory Institutions
Donghun Kang 인류세에서의 친환경 태도와 행동: 디지털 시대의 순환 경제를 중심으로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 Anthropocene: A Focus on the Circular Economy in the Digital Age
Master’s degree recipients (85)
Department Master’s degree recipients
School of Digital Humanities and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 JUN SANG IM, Woori Jang, Suh-young Choi (3 students)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Hayeon Bang, DONGYEON YOO, LUISA ALVES DO AMARAL RAMOS, RYAN ANDREW GALLAGHER, Dong Kyu Kwak, Minyung Kim, Jung Hyun Nam, Junghoon Seo, Jihun Shin, HAEUN OH, Sehyeon Lee, Hyungwoo JIN, SELIN CHOI, youjin choi (14 students)
Master’s Program in Science Journalism Taewoo Kim, SOO YEON BAE, Hosung Joh, DAIN OH, Sungmin Park, DONGKYU SON, LEE JooChan, MINGU KANG, HEEUNG MIN, Somin Park, Seonhee Son, MINHYUNG LEE, Yongseon Lee, Jaewon Lee, JEONGWOO LEE, Min Young Cho, Kwonpil Chon, WOORI CHOI (18 students)
Master’s Program in Intellectual Property Youngyi Kim, Jung Hyun Kim, Seula Kim, HeeJun Woo, KIHWAN KWON, NAMHYUK KIM, Byungjoon Kim, Ahyeong Kim, JOONHYO KIM, JUNHUI KIM, GINA KIM, JIYUN KIM, SOWHA PARK, Junoh Park, YOON SUB BANG, SEUNGMIN SHIN, SeongHwan Ryu, Junyeop Lee, SEUNGHO JUNG, JUNHEUM JO, EUNHEE JI, JIHYUN HUH, Yoonjin Hwang, Sungho Choi, Sunkyung Kim, Eunsung Na, Min Ji Ha, Hyun Jun Kim (28 students)
Master’s Program in Future Strategy SUNYOUNG PARK, ILJU SEO, BITNAM HWANG, MINSEOK KIM, Sungwoong Kim, DAHYE SONG, Jihyeon Kim, HYERI LEE, HYUNSOO JEONG, INWON CHOI, Ki-Suk Huh, Sunwoo Hwang, JIMIN LEE, Gyeongin Kim, MARIE KIM, Junhan Kim, JUHYUN MIN, Sohee Park, Chan-Seo Park, BORAH LEE (20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y Policy Ji-Soo SIM, Yunji Woo (2 students)
Professional master’s degree recipients (1)
Department Professional master’s degree recipients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MINJI PARK (1 student)
카이스트 베네핏 챌린지 프로그램

KAIST Bene-Fit Challenge Program

카이스트 내 학부-대학원생의 다양한 건강관리 및 스포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신체활동 Challenge 프로그램과 체육 AU 확대를 위해 운영
스포츠 활동을 통한 도전과 건강관리의 성취감을 고취시킵니다.

To escape from 방콕 : 비활동성 생활습관의 전환 기회 / 건강하고 활기찬 기숙 환경 적응 / 스포츠 참여로 활동적인 휴식의 필요성 이해
새로운 스포츠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긍정적인 동기 제공 / 스포츠나 운동을 통한 스포츠 과학의 융합적 사고 활성화

※ 프로그램 유형 : 교육형, 참여형, 도전형 Benefit의 사전적 의미는 이익, 도움이 되다’ 입니다.
‘bene’‘좋은’이라는 뜻에서 어원과 체력의 fitness에서 Fit을 차용하여 Bene-Fit의 ‘체력이 좋다, 건강해진다’ 의 중의적 의미로 사용합니다.
“KAIST 50주년 197.1km 베네핏 Challenge run” 진행 2021년은 KAIST 개교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따라서 우리 대학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에서는 교내 구성원들간의 건강과 체력관리를 위한 캠페인으로 “KAIST 50주년 197.1km 베네핏 챌린지 달리기”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장기간 코로나 19로 위축된 신체활동과 구성원들의 체력증진, 건강관리 및 스포츠 활동 활성화를 위해 Challenge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자 하였습니다. 개교년도 1971년을 의미하는 197.1km를 3개월간 완주하기 위해 300여 명의 참가자를 선발하였고 참가자의 체력과 동기 수준에 따라 걷기와 달리기를 통해 50주년을 의미하여 50명을 선착순으로 선발하고자 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카이스트 개교 50주년 기념과 코로나 19상황에서 비대면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구성원간의 사회적 가치를 함양하고 건강한 신체와 건전한 사고를 위한 도전 의식을 북돋워 성취감 고취할 수 있었으며, 스포츠 활동을 통해 참여의식과 배려심을 배양할 수 있었습니다.

행사 로고

행사 로고

행사 어플> 스트라바(STRAVA)

행사 어플> 스트라바(STRAVA)

프로그램 포스터

프로그램 포스터

프로그램 웹페이지 및 완주증

프로그램 웹페이지 및 완주증
more view

교내 인기코스> 참가자

교내 인기코스> 참가자
운영 프로그램

SOS 안전수영 (교육형)

SOS 안전수영 (교육형)

대전 마라톤 10K 도전 (도전형)

대전 마라톤 10K 도전 (도전형)

조용한 인내: 명상요가 (교육형)

조용한 인내: 명상요가 (교육형)

서울 달리기: 하프 마라톤 도전 (도전형)

서울 달리기: 하프 마라톤 도전 (도전형)

전문 스포츠 교실 배드민턴 (참여형)

전문 스포츠 교실 배드민턴 (참여형)

대전여지도 - "대전의 길을 열다...지도꾼 카이스티안!“ (참여형) - 대전 및 유성구 내 지정된 10곳 중 7곳 투어 체험

대전여지도 - '대전의 길을 열다...지도꾼 카이스티안!' (참여형) - 대전 및 유성구 내 지정된 10곳 중 7곳 투어 체험
다빈치 포인트

Da Vinci point

카이스트 예술 활동 인증제

카이스트는 당신의 예술활동을 응원합니다.

다빈치 포인트는 학부생들이 편안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주는 예술 활동 활성화 프로그램 입니다.

  • 예술을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창의적 캠퍼스 조성
  • 학생들의 다양한 수요에 맞게
    예술 활동 참여 동기 부여
  • 학내 다양한 예술 활동에 대한
    통합적 정보 제공 및 활성화
2019년 다빈치 포인트 수상자
  • 하예림 (수리과학과)
  • 길서영 (전기전자공학부)
  • 플래티넘상

    김현진, 최진, 강덕희, 양인선, 윤서원, 김나영, 신의진, 문희준, 김성주, 추진우, 이재진

  • 골드상

    박수림, 김태형, 김민성, 이소영, 이진우, 김이삭, 류주영, 이성주

  • 실버상

    김은수, 최준호, 권정민, 이창해, 박광천, 양희원, 이찬희, 이재욱, 이종서, 김예솔, 홍민주, 이유경, 김용태

  • 참가상

    신정윤, 이금진, 이기범, 이영민, 이정현, 이찬혁, 정다현, 정석훈, 정원호, 정호헌, 조민우, 최명균, 이현정, 이현직, 임나현, 임성재, 홍성준, 전재완

사회적 가치

Social Value

현장 기반 사회적 가치 교육 프로그램 시행 UN 지속가능발전(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을 위한 17개 목표를 반영하여 사회적 가치 지향 인재 양성을 위한 인문사회교육의 3가지 주요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사회적 가치 지향 인문사회교육의 3가지 핵심주제
  • 평화와 인권
    평화와 인권

    평화/인권, 세계화/다문화/젠더
    북한/통일

    사회학 특강(세계화와 이주) 강의 통해 시범 시행
    • 1) 현장 전문가 초청 강연

    • 2) 현지 답사 및 조사

      -안산 이주노동자센터, 양천 외국인근로자센터 등 8곳

    • 3) 학생 워크샵 개최: 현장조사 결과 발표 및 공유

  • 공존과 소통
    공존과 소통

    법/민주주의, 불평등/노동, 사회경제/공유,미디어/소통/정보

    세계화와 이주 (Globalization and Migration)
    • 강의개요

      이 수업은 전세계적인 인구이동이 가져온 세계화의 의미를 ‘이주’라는 사회현상을 통해 이해하려 하며 크게 두 가지 내용으로 진행된.
      첫째, 전통적인 이주국가에서 일어난 정치 사회 문화적 변화와 도전들을 유럽의 이주와 난민위기, 그리고 다문화 주의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통해 접근 할 것이다

    • 강의일정

      Week1 (9/2, 4)
      인구이동의 명과 암 / 세계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

  • 과학기술과 환경
    과학기술과 환경

    생태/환경, 도시/인구/보건
    과학기술